* 누가 봐도 일본 내수용 스포츠게임인데 그 숫자가 엄청나더군요. 패미스타나 파워프로를 제외한 나머지 일본 내수용 스포츠게임이 너무 많습니다. 이건 딱 보아도 재미없겠다 싶은 게 시리즈로 대여섯 개가 있는데 그런 경우가 대충 스무 개 넘는 것 같기도 하고. 정말 정신이 나가겠다 싶을 정도로 많네요. 제작사들은 그걸 만들어서 돈을 벌긴 했을까요? 왜 그렇게 까지 만들었는지 이해가 안 가네요.
* 낚시 게임이 꽤 있습니다. 요즘은 낚시 게임이 거의 없죠? 요즘에 비하면 세배? 네 배 정도 많은 것 같아요.
* 경마게임도 꽤 있습니다. 지금은 위닝포스트를 제외하면 거의 망했죠? 이제는 말 초상권문제도 있어서 예전처럼 많이 나오지 못할 텐데 저때는 꽤 있었더라고요. 물론 위닝포스트 시리즈도 있습니다.
* 생각보다 전체 발매게임수 대비 RPG가 비중이 적습니다. 기분상으로는 저 시대면 명작 RPG가 그득하던 시기가 아닌가? 싶을 거예요. 물론 절대수로 따지면 꽤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 다만 퍼센트로 따지면 RPG가 아닌 다른 장르의 게임들이 너무너무 많이 나와서 상대적으로 비중이 적네요.
아무래도 저 시기는 FPS가 본격 자리 잡기 전의 시대다 보니 지금과는 장르비중이 많이 다르네요. 요즘 같은 액션어드벤처도 없던 시기이고요. 레이싱게임도 본격적인 부흥은 바로 다음세대인 플레이스테이션 1부터였죠.
격투게임도 이식해 주면 그나마 다행이라고 여기던 시기였습니다. 다만 이식되면 아케이드기판의 사양을 콘솔이 따라가지 못해서 무조건 마이너 이식이 되던 시기였죠.
Shattered Pixel Dungeon은 국내에서는 직역명인 '녹슨 픽셀 던전'의 줄임말인 녹픽던으로 많이 불리고 있습니다.
이 게임은 '절차적 랜덤 생성' '완전한 죽음'이라는 로그라이크의 문법을 충실하게 따르면서도 간단한 조작과 다양한 선택적 요소들을 도입함으로 인해서 반복플레이가 부담이 없으면서도 질리지 않는 게임입니다.
개발자가 기부를 받고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무료'로 플레이할 수 있으면서도 몇 년째 꾸준하게 업데이트가 되면서 밸런스 조정이나 신요소들을 도입하고 있죠.
그래서 저는 몇 년째 플레이 중이지만 계속해서 꾸준히 플레이 중입니다.
이 게임을 로그라이크 입문을 하고 싶은 사람에게 추천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가장 큰 이유는 '조작의 간단함'입니다. 예를 들면 많이들 즐기는 던전크롤만 해도 조작이 꽤나 복잡한 게임이거든요. 다양한 행동선택이 있어서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반응이 나올 때가 많은데 녹픽던은 그런 면이 많이 간소화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무료이기 때문에 금전적 부담도 전혀 없죠.
최근 게임패스가 가격인상을 단행했습니다. xbox series x|s 세대에 이르러 세 번째인 것 같네요.
코로나 팬데믹 영향도 있긴 했지만 이전의 두번의 인상은 ps plus도 인상을 했던 것에 비해 이번엔 xbox의 단독인상이라서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아쉬움이 큽니다. 점점 게임패스 얼티밋의 가격이 경쟁서비스인 ps plus 스페셜의 가격에 수렴해가고 있기 때문에 더 아쉽습니다.
분명 여전히 장점이 있긴 하지만 정신이 이상한 사람이 아니고서는 어느 정도의 숫자의 제공게임이상은 큰 의미가 없거든요. 뷔페 메뉴를 늘렸다며 가격을 더 받겠다고 한들 게이머 입장에서는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는 시간은 한정되어 있습니다. 무한정 늘어나는 것이 아니죠.
지금도 충분히 넘치도록 많아서 다 플레이 하지도 못하는데 게임을 더 추가한다고 가격이 상승하면 소비자만 답답해집니다.
또 문제인 것은 '얼티밋을 사용하지 않을거면 코어를 선택할 거냐?'라는 겁니다. 하지만 그러기엔 코어는 가격이 ps plus 에센셜급이면서 정작 서비스는 에센셜보다 훨씬 쓰레기입니다. 얼티밋이 아니면 게임패스를 아예 안 쓰는 두 개의 선택지만 남는 거죠. 하지만 콘솔은 멀티플레이를 위해서는 온라인 서비스 결제가 필수입니다. 그러면 결국 얼티밋이 맘에 안 드는 순간이 오더라도 XBOX 콘솔 사용자 입장에서는 게임패스 얼티밋을 쓸 수밖에 없게 되는 것입니다.
엑스박스가 바보짓을 해온 역사가 하루이틀이 아니긴 하지만 요즘 유독 더 심해진 것 같습니다. 괜히 짜증 좀 안 나게 했으면 좋겠어요. 엑스박스 콘솔 유저 입장에서 좀 괴롭힘 당하는 기분이 들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엑스박스를 샤람들에게 추천해주곤 했었습니다. 그러다가 언젠가부터 추천을 하는 행위를 하지 않게 됐죠.
가장 큰 이유는 "내가 잘 즐기고 있는데 쓸데없는 험담을 보면서 내 기분을 스스로 잡칠 필요가 없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입니다.
남에게 엑스박스를 추천해주면서 내가 물질적 이득을 취하게 되는 것이 전혀 없는데 기껏 추천해주고 개소리 늘어놓는 것을 보게 되는 상황을 되돌아 보았을 때 '나만 시간낭비하고 기분 상하는구나' 라는 것을 알게 됐기 때문입니다.
엑스박스가 여러가지 장점을 가진 좋은 플랫폼이기에 같은 게이머입장에서 좋은 환경에서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돕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라고 생각했는데, 돌아보니 어차피 남들이 쓰는 돈이 내 돈도 아닌데 내 알바 아니라는 결론이 나오더라고요.
그래서 "남들이 어찌되든 모르겠고 나만 잘 즐겨야겠다"는 결론을 가지게 됐습니다.
엑스박스가 좋지 않아서 그런 것이 아니고, 인간들이 제정신이 아니라서 상대하는게 싫어졌다는 이야기죠. 그렇다고 엑스박스에 대해 누군가 물어본다고 좋다고 해줄 생각도 없습니다. 자기네들 알아서 본인 돈으로 사고 싶은 것 사고 스스로 평가하라고 하고 싶어요. 나한테 짜증나게 물어보지 말고.
라이브 서비스 게임이란? 말 그대로 'Live' 한 'Service'를 해야 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라이브 서비스 게임은 보통 업데이트가 멈추게 되면 게임이 사라지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아니 '업데이트 멈추더라도 서버 좀 남겨놓으면 안되나요?'라고 생각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서버 유지도 돈이다. 업데이트를 멈춘 게임이더라도 간간히 보안문제도 해결해야 하며 서버구동의 안정성도 정기적으로 체크해야 한다.
하지만 그게 다 돈이다. 그리고 돈을 벌기 위해서는? 게임이 멈춰있으면 안된다. 여기서 멈춰있다는 것은 컨텐츠 업데이트를 말하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인해 라이브 서비스 게임은 컨텐츠 업데이트가 멈추면 게임회사에서 보통 게임을 그대로 남겨두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렇게 게임이 사라지고 나면 게이머들은 그 게임에 대한 추억을 되새김질 할 기회조차 가질 수 없게 된다.
위 영상은 넥슨이 과거에 서비스했고 지금은 수년째 '없데이트'상태로 유지만 하고 있는 일랜시아에 대한 내용이다. 하지만 게임 서비스가 중단되고 서버조차 유지 안한채로 아예 없애버린 수많은 라이브 서비스 게임에 비하면 위 영상의 '서버라도 유지해주고 있는 일랜시아는 차라리 양반'이다.
뭐 일랜시아 유저들은 일랜시아 생각만 하니까 그런 생각 못하겠지만 ㅋㅋ
물론 대기업이라고 해서 무조건 저렇게 유지해준다는 보장은 없다. 예를 들면 NC에서 개발했던 캐주얼 테니스게임 '스매쉬스타'는 2005년 첫선을 보였는데 결국 2008년 서비스 종료 이후 게임을 없애버렸다. 이렇게 게임을 아예 없애버리면 유저들은 '내 추억은 어디서 찾나'가 되는 것이다.
넥슨이 일랜시아를 유지시켜주고 있는 건 넥슨이 그걸 감당 할 수 있는 여력을 갖고 있는 회사이기 때문이다. 비슷한 경우로 사이게임즈의 '신격의 바하무트'가 있다. 신격의 바하무트도 이젠 업데이트가 없는 '없데이트'상태로 유지되고 있는데 그나마 일본 모바일게임 업계 1위인 사이게임즈 정도니까 그정도의 서비스라도 해주는 것.
하지만 NC같은 대기업도 서비스 종료를 해버리는 경우도 있고 일랜시아 유지시켜주는 넥슨도 듀랑고를 서비스 종료하고 없애버린 역사도 있다.
다만 서비스가 크게 흥하지 못하더라도 대기업 개발사들은 그나마 좀 길게 유지를 해주는 편에 속한다. 중소기업은 하루하루가 빠듯하기 때문에 견디다가 터져버리면 어쩔 도리가 없다.
난 요즘 라이브서비스게임을 별로 안하고 있지만 이러한 이유들때문에 라이브서비스게임은 되도록이면 큰 회사에서 서비스 하는 게임을 플레아히기를 추천하는 바이다. 하던 게임 접고나면 미련 안가지는 사람이야 상관없겠지만 내 수십년 게이머 경력을 생각하면 결국 게이머는 추억에 사는 동물이다. 자신의 추억을 되새길 수 있는 기회조차 빼앗기는 것은 참 힘든 일이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