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2025. 2. 14. 12:20 게임이야기

페르소나 시리즈 내에서 '페르소나'라는 것의 의미에 대해서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이 꽤 많다. 사실 게임 내에서 충분히 설명해주고 있지만 요즘엔 안그래도 한국인들이 문해력이 바닥을 때리는지 말귀를 못 알아먹는 사람이 너무 많다

 

이건 게임 페르소나를 떠나서 페르소나라는 단어 자체의 의미를 알아두면 알기 쉽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Person, personality 같은 단어가 모두 페르소나(Persona)에서 온 것이다. 쉽게 말하면 '인격'이라고 불러도 된다.

 

가끔 사람들이 오해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개인의 인격은 단일한 성격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생각이다. 난 쓸데없다고 생각하는 것이긴 하지만 요즘 사람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MBTI 같은 것이다. 뭐 예를 들면 MBTI에서 ENTP가 있다고 치자.

 

사람들은 그 사람에 대해 "넌 ENTP야"같은 식으로 정의해버리는 경우가 요즘 많이 보인다. 하지만 이건 잘못된 생각이다. 그 사람이 MBTI 테스트에서 ENTP가 나왔다고 해서 이 사람이 누군가를 대할 떄 항상 ENTP의 성격을 보인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어떤 경우는 INFJ를 보이기도 하고 어떤 경우는 ESFP를 보이기도 한다. 

 

이건 MBTI를 예시를 든 것인데. 핵심은 '사람은 다양한 속성의 덩어리'라는 말이다. 그래서 외부 환경마다 다른 성향의 개인성을 드러낸다. 바로 이것이 페르소나이다.

 

페르소나에서는 그 개인성을 상징화 한 것이 등장하는 각종 페르소나들이다.

 

 

 

'그럼 주인공 말고 다른 캐릭터들도 다양한 페르소나를 갖고 있어야 하는 것 아닌가?' 라고 생각할 수 있다. 사실 설정의 디테일함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이렇게 만드는 것이 맞긴 한데, 주인공만 그렇게 만들어 놓은 것은 게임적 허용 및 게임적 제한이라고 생각하자.

 

이렇듯이 페르소나 시리즈에는 게임 내에 여러가지 상징성, 비유를 넣은 부분이 많다.

 

페르소나 3의 총은 방아쇠(트리거)를 당겨 자신의 내면을 끌어낸다는 설정, 페르소나 4는 안경을 통해 흐릿한 안개 속의 내면을 들여다본다는 설정, 페르소나 5는 가면을 통해 페르소나 라는 단어 자체에 집중하는 면이 있다.

 

그리고 시리즈 전체적으로 인간의 내면, 무의식, 욕망을 탐구하는 면을 가지고 있다.

 

언제나 그렇듯이 '이런 설정 꼭 알아야 하나?' 라고 생각한다면 대답은 NO이다. 다만 알면 즐겁고 이런 걸 알고 이해할수록 재미없던 게임이 재밌어지고 재밌는 게임은 더욱 재밌어진다.

posted by 별빛사랑
2025. 2. 13. 20:40 게임이야기

 

 

볼 것 없었다

 

'데이즈곤 10달러 플스 5 유료 업그레이드'는 완전 웃음벨.

 

물론 어이가 없어서 웃기다는 거.

 

하여튼 병신회사 소니가 소니 했다, 뭐 이런 감상.

 

아침에 이거 생방으로 본 거 진짜 시간 아까웠다. 에휴. 그 시간에 다른 걸 하든가 잠을 더 잘 걸. 병신회사.

posted by 별빛사랑
2025. 2. 7. 00:07 게임이야기

 

 

이제 절반 정도 남은 페르소나 3 포터블

 

며칠 동안 손 안 댄 것 같은데 아까 낮에 켜서 이번 월차 보스를 잡고 저장했다

 

엔딩 보고 나면 여자주인공을 할지 다른 게임을 할지 좀 고민 중이다

posted by 별빛사랑
2025. 2. 5. 01:40 게임이야기

 

* Heroes of might & magic 3 - Horn of the Abyss

 

오랜만에 설치했다.

예전엔 정말 많이 했는데.

오랜만에 설치해서 시험삼아 실행해봤더니 종족이 하나 더 추가됐네...?

호오...? =ㅁ=

 

 

* 삼국지 11 Powerup Kit

 

요것도 정말 오랜만에 설치한...

삼국지도 예전에 정말 자주 했지... 흠...

(뭔가 회상해보려고 했는데 너무 오래돼서 기억이 나는게 없다;;)

뭐 틈틈이 할 생각

 

 

* GemCraft - Chasing Shadows

 

타워디펜스 명작 잼크래프트

예전에 샀을 때 한국어 패치 설치 하면서 시험삼아 돌려본 이후로 어쩌다보니 그동안 아예 안했다.

틈틈이 하면서 언젠가 올클리어 한번 해보고 싶은 마음

 

 

 

 

 

posted by 별빛사랑

 

 

 

매뉴얼의 LED 사용영상 QR코드의 동영상 링크 : https://m.site.naver.com/1baXX

posted by 별빛사랑

 

 

해당 옵션 설정 후 재부팅

 

출처 : https://coolenjoy.net/bbs/37/246473

posted by 별빛사랑
2025. 1. 26. 14:18 게임이야기

1. MS가 인증 및 관리하는 하위호환

 

닌텐도는 보통 바로 아랫 세대 하위호환은 되는데 2세대가 넘어가면 하위호환이 안됩니다.

 

소니는 닌텐도 만큼도 안하죠. 대표적으로 플스 3 시절 중기형 모델부터는 물리적 하위호환을 없앴고 후기형에서는 아예 다 없애버립니다. 플스 4도 3의 하위호환을 하지 않았으며 5는 VR2에서 VR1의 하위호환을 하지 않았죠. 얘네들은 사례가 너무 많아요.

 

그럼 PC. 즉 스팀은 어떻냐 하면 PC특성상 나중에 게임구동에 언제 호환성 문제가 생길지 모르며 스팀 자체적으로도 아무런 호환성 관리를 하지 않고 게임사도 시간 지나면 호환성 문제 생긴다고 패치를 해주지 않습니다. 유명게임이 아니면 유저패치 기대하기도 어렵죠.

 

반면 엑스박스는 MS가 하위호환 관리를 게임사에 맡기지 않고 직접 하며 XBOX ONE 이후의 세대는 매우 특별한 사유가 아니면 계속해서 하위호환을 약속하고 있으며 지금도 유지중입니다.

 

 

2. 하위호환 게임의 무료 품질 업그레이드

 

하위호환과 마찬가지로 게임사가 작업할 필요 없이 MS가 직접 하위호환 게임의 그래픽, 해상도, HDR, 프레임 업그레이드를 차세대 콘솔에서 하고 있습니다.

닌텐도는 그런 작업이 없고 플스는 오히려 그걸 구실로 리마스터, 리메이크를 팔아먹고 있죠.

 

 

4K 60프레임 HDR로 자동 업그레이드 됀 파이널 판타지 XIII-2

 

위 영상은 XBOX 360 으로 나온 파이널 판타지 XIII-2를 그대로 XBOX SERIES X 에서 구동한 모습입니다.

무료로 업그레이드 됀 것이며 유료로 구입하는 리마스터판이 아닙니다.

XBOX 360으로 실행시에는 HDR이 없으며 576p 30 프레임으로 동작합니다.

 

 

 

최근 나온 레드 데드 리뎀션 리마스터(PS5판)과 XBOX 360판을 XBOX SERIES X로 하위호환 구동한 것을 비교한 영상입니다. XBOX로 구동한 영상은 무료 하위호환이며 돈을 내고 사는 유로 리마스터판이 아닙니다.

 

XBOX 360판은 낮은 해상도, HDR이 없지만 XBOX SERIES X로 구동시 4K HDR이 적용됩니다

 

 

3. 한번의 구입으로 PC판과 콘솔판을 함께

 

엑스박스는 현재 공식 한국어 지원 게임 중 570개 이상에서 XBOX 플레이 애니웨어(XPA)를 지원중입니다. XPA 게임은 한번 구입으로 PC판과 콘솔판을 함께 구매 할 수 있습니다.

 

어차피 게임플레이는 콘솔, PC 중 하나로 할 거 아니냐 라고 할 사람도 있을텐데요. 다음 세대는 콘솔에서 PC로 주기기를 변경한다거나 반대의 경우에도 게임이 유지되는겁니다. 

 

XPA는 콘솔판과 PC판이 서로 세이브도 클라우드로 공유하기 때문에 세이브가 날아가는 걱정도 없습니다.

 

그리고 XPA까지는 아니지만 콘솔판과 PC판을 함께 주는 게임도 많습니다.

 

 

---------------------------------------------------------------------------------------------------------------------------------------------

 

이렇게 '왜 엑스박스를 사용하는가'에 대해 개인적인 생각을 써봤습니다.

 

클라우드 게이밍, 게임패스도 장점이겠지만 저에게는 큰 동기는 아니고요. 저는 저 3가지가 가장 큽니다.

 

사람마다 장점으로 느끼는 부분은 다릅니다. 왜냐면 장점이라는 것은 내가 바라는 부분이거든요.

내가 관심이 없으면 단점은 아니더라도 장점도 아닌겁니다.

 

한국은 엑스박스 유저가 적기도 하고 엑스박스에 대한 부족한 인식, 왜곡된 정보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아예 모른다거나 오해하는 분들을 위해 글을 써보았습니다.

 

여기 쓴 특징들은 개인마다 장점으로 느끼지 못할 수 있습니다. 그건 개인차인거죠.

posted by 별빛사랑
2025. 1. 15. 08:42 게임이야기



페르소나 3 포터블 : 매니악 난이도로 플레이 중
슬레이 더 스파이어 : 일일미션 한번 정도

섀터드 픽셀 던전 : 며칠에 한번 또는 외출시
매직 서바이벌 : 며칠에 한번

posted by 별빛사랑
2024. 11. 29. 11:33 일상이야기/짧은이야기

며칠 전 ATM으로 계좌거래내역을 보려 했습니다.

카드를 ATM에 꽂고 버튼을 눌렀는데 '이 기기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뜨더군요.

뭐지? 문제가 생겼나? 한동안 ATM에서는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일반적인 거래에는 아무렇지 않게 써오던 카드인데.

 

혹시나 싶어서 편의점에서 음료수를 구매하고 결제할 때 사용해 봤는데 이상 없이 잘 되더군요.

결국 원인을 알 수 없어서 은행에 갔고 같은 카드로 재발급을 했습니다.

창구담당 직원분도 안될 이유가 딱히 없는데...라고 이야기 했습니다.

혹시나 오래돼서 IC칩에 문제가 생겼을지도 모른다고요.

 

재발급한 카드로 ATM을 사용해 보니 그제야 문제없이 사용이 가능했습니다

 

결국 결과론적으로 원인은 카드의 IC이 문제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이런 경우도 있네요.

 

어디 휘거나 찍히거나 한 카드도 아닌데 갑자기 안 되는... 카드 사용 제한기간 다 채우고 나서 재발급받고 싶었는데.

posted by 별빛사랑
2024. 11. 15. 09:38 일상이야기/짧은이야기

컨트롤러를 잡지 못할 정도 까지는 아니지만

 

일단은 손 컨디션이 별로라서 컨트롤러 잡고 게임 하고 싶다는 생각은 별로 들지 않는 날이다

posted by 별빛사랑
2024. 11. 14. 07:25 게임이야기

 

정말 오랜만에 디아블로 3을 하고 있다. 플레이는 스위치판으로 하는 중.


디아블로 제대로 해보고 끊은 것이 디아 2 오리지널 시절 같다. 그 뒤로 디아블로를 아예 안 했냐 물어보면 그건 아니다.


지금 갖고 있는 스위치판도 언제 샀는지 기억도 제대로 안 날 정도로 시간이 지났는데 그때 사서 좀 즐기기도 했고.


근데 그러면서도 여태까지 살면서 시즌은 한 번도 제대로 한 적이 없다는 것. 디아 2 하던 그 시절은 시즌 콘텐츠라는 게 제대로 도입되기

전에 접었기도 했고.


3은 스토리 한번 다 깨고 놓았달까.


이번엔 한 번쯤 쭉 해볼까 싶기도 하다.


일단 이 글을 쓰는 시점 기준으로 이미 스토리는 쭉 클리어했다.

 

스토리를 일단 다 밀려고 가장 낮은 난이도인 보통으로 쭉 달렸다. 

 

처음으로 제대로 해보자고 생각하는 시즌 콘텐츠라서 다 채울 수 있을지도 아직 모르겠는데 뭐 지나 보면 알겠지.
지금은 아직 시즌 콘텐츠를 다 마칠 수 있을지 나도 모르겠다.ㅋㅋㅋ

posted by 별빛사랑
2024. 10. 14. 07:59 게임이야기/숏톡

불법프로그램을 당당하게 돌리는 걸 목격해서 신고...

포켓몬 코리아 욕하는 걸 꽤 본 적이 있다보니 일을 잘 할지 모르겠다

약간 '어떻게 할지 궁금하다'라는 기분이 들었어 ㅋㅋ

 

뭐 어찌 됐든간에 빨리 처리해 줘

posted by 별빛사랑
2024. 10. 5. 00:27 게임이야기

외장 하드디스크가 발열이 심하면 녹화가 제대로 안되나봅니다.


콘솔 자체는 안 끄고 쭉 대기상태로 뒀는데 그동안 외장 하드는 계속 작동 되어서 열을 많이 받았나봐요.


녹화 중에 녹화가 계속 자동으로 꺼져서 원인을 의심했는데 XSX의 전원을 한동안 꺼뒀다가 하니 제대로 녹화가 되는 걸 보면 아마도 외장하드디스크의 발열이 원인이 아닌가 싶습니다.


다만 문제가 더이상 발생하지 않게 된 것이지, 원인이 확실해지지는 않았습니다. 대충 추정만 하고 있네요.


혹시나 같은 일이 다시 반복될지도 모르니 참고를 위해서 메모를 남겨놓습니다.

posted by 별빛사랑
2024. 10. 4. 10:20 일상이야기

ifixit에서 검색을 했는데 원하는 검색결과가 나오지 않을 때는 언어를 영어로 변경해보세요.

한국어 페이지는 한국어로 번역작업이 이루어진 페이지만 보여주도록 되어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검색결과가 매우 한정적으로 나옵니다.

언어를 영어로 변경하면 원하는 검색결과를 찾을 수 있을 겁니다.

 

예전에는 접속하면 기본적으로 영문페이지로 접속하도록 되어있던걸로 기억하는데...

오늘 들어가보니 강제로 한국어로 이동되더군요.

영어를 몰라도 구글번역기를 사용하면 영문페이지도 어느정도 알아들을 수 있을 정도의 번역은 됩니다.

posted by 별빛사랑
2024. 10. 3. 16:24 일상이야기/짧은이야기

일반적인 TV 채널뿐만 아니라 넷플릭스 같은 OTT도 안 보고요.

 

예전부터 TV예능을 남들과 비슷한 수준으로 관심을 가지지는 않았었어요. 예능 보다는 다큐를 좋아했고요.

드라마도 관심을 거의 가지지 않고 살았습니다. 어쩌다 보니 보게 되면 그것만 잠시 관심을 가지는 정도?

 

요즘은 유튜브에서 다큐멘터리를 언제든 다양하고 많이 접할 수 있죠. 공중파들도 유튜브에 이전에 방송했던 다큐멘터리를 올려놓다 보니 정말 볼 것이 많습니다.

예능은 유튜버들 하나하나가 예능 프로그램 같은 것이기 때문에 매번 소재가 달라지는 TV나 OTT보다는 유튜브가 나에겐 잘 맞습니다. 좋아하는 소재의 예능을 찾아 유튜버를 찾는 거죠.

뉴스도 유튜브로 다 올라오고 아니면 인터넷으로 들어가서 보면 되니까 굳이 TV를 볼 필요가 없어요.

 

그리고 드라마? 드라마는 솔직히 큰 관심이 없습니다. 게임을 좋아하기 때문에 게임을 하는데만 해도 시간이 많이 모자라요. 드라마를 볼 여유도 없고 별로 관심이 없습니다.

 

어제 남과 이야기를 하다 요즘 예능 이야기를 들었는데 그러다 보니 "TV 안 본 지 오래됐다"는 말을 하게 됐어요. 그래서 잠시 리마인드 해봤습니다. ^^

posted by 별빛사랑
2024. 9. 30. 14:59 게임이야기

몇 개의 포인트를 느꼈는데


* 누가 봐도 일본 내수용 스포츠게임인데 그 숫자가 엄청나더군요. 패미스타나 파워프로를 제외한 나머지 일본 내수용 스포츠게임이 너무 많습니다. 이건 딱 보아도 재미없겠다 싶은 게 시리즈로 대여섯 개가 있는데 그런 경우가 대충 스무 개 넘는 것 같기도 하고. 정말 정신이 나가겠다 싶을 정도로 많네요. 제작사들은 그걸 만들어서 돈을 벌긴 했을까요? 왜 그렇게 까지 만들었는지 이해가 안 가네요.

 

* 낚시 게임이 꽤 있습니다. 요즘은 낚시 게임이 거의 없죠? 요즘에 비하면 세배? 네 배 정도 많은 것 같아요.

 

* 경마게임도 꽤 있습니다. 지금은 위닝포스트를 제외하면 거의 망했죠? 이제는 말 초상권문제도 있어서 예전처럼 많이 나오지 못할 텐데 저때는 꽤 있었더라고요. 물론 위닝포스트 시리즈도 있습니다.


* 생각보다 전체 발매게임수 대비 RPG가 비중이 적습니다. 기분상으로는 저 시대면 명작 RPG가 그득하던 시기가 아닌가? 싶을 거예요. 물론 절대수로 따지면 꽤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 다만 퍼센트로 따지면 RPG가 아닌 다른 장르의 게임들이 너무너무 많이 나와서 상대적으로 비중이 적네요.


아무래도 저 시기는 FPS가 본격 자리 잡기 전의 시대다 보니 지금과는 장르비중이 많이 다르네요. 요즘 같은 액션어드벤처도 없던 시기이고요. 레이싱게임도 본격적인 부흥은 바로 다음세대인 플레이스테이션 1부터였죠.


격투게임도 이식해 주면 그나마 다행이라고 여기던 시기였습니다. 다만 이식되면 아케이드기판의 사양을 콘솔이 따라가지 못해서 무조건 마이너 이식이 되던 시기였죠.


여하튼 과거 게임들을 짚어보는 것도 재미있는 경험이네요. 즐거웠습니다. ^^

posted by 별빛사랑
2024. 9. 30. 06:49 일상이야기

2023년형을 아주 잘 사용 중이기에 새 태블릿을 언젠가 사게 된다면 신형의 Y700이 좋겠다는 생각을 많이 하고 있었어요.
전작이 2021년에 1세대, 2023년에 2세대가 나와서 3세대는 2025년에 나오지 않을까 상상했는데 생각보다 신제품의 출시가 빠르네요.


칩셋이 기존의 스냅드래곤 8+ Gen 1에서 Gen 3로 두 단계 뛰었네요. 당연히 그만큼 게임성능도 올라갔을 테고.


디스플레이는 주사율이 기존 144에서 165로 늘었다고 합니다. 디스플레이의 나머지 스펙은 전작인 2023 버전과 거의 비슷하네요.


다만 리뷰에 의하면 SD카드 슬롯이 삭제되었다고 합니다. 이건 좀... 구입하게 된다면 안 그래도 거의 고려하지 않던 256기가 모델은 절대 피해야겠습니다.


SD카드 슬롯 삭제가 기분 나쁘긴 한데 저 같은 경우는 SD카드 슬롯이 필요한 일은 기존의 2023년형으로 해결하면 어느 정도는 해소될 것 같습니다.

 


가격은 전 세대에 비교해서 오르긴 했지만 성능상승을 생각하면 납득할 수 있는 출시가 같아요.


지금은 출시 직전이라 좀 비싼 감이 없잖은데 올해 광군제 지나고 내년 광군제쯤 되면 각종 할인 적용 된 상태에서 30만 원 중후반대 들어오지 않을까 예상해 봅니다.


어차피 지금 바로 살 것도 아니고 어느 정도 납득할만한 가격이 되어야 살 거니까요.

posted by 별빛사랑
2024. 9. 29. 06:39 게임이야기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shatteredpixel.shatteredpixeldungeon&pcampaignid=web_share

 

Shattered Pixel Dungeon - Google Play 앱

입문은 쉬우나 숙달은 어려운 로그라이크 던전 크롤러 RPG 게임입니다!

play.google.com

 

Shattered Pixel Dungeon은 국내에서는 직역명인 '녹슨 픽셀 던전'의 줄임말인 녹픽던으로 많이 불리고 있습니다.

이 게임은 '절차적 랜덤 생성' '완전한 죽음'이라는 로그라이크의 문법을 충실하게 따르면서도 간단한 조작과 다양한 선택적 요소들을 도입함으로 인해서 반복플레이가 부담이 없으면서도 질리지 않는 게임입니다.

 

개발자가 기부를 받고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무료'로 플레이할 수 있으면서도 몇 년째 꾸준하게 업데이트가 되면서 밸런스 조정이나 신요소들을 도입하고 있죠.

그래서 저는 몇 년째 플레이 중이지만 계속해서 꾸준히 플레이 중입니다.

 

이 게임을 로그라이크 입문을 하고 싶은 사람에게 추천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가장 큰 이유는 '조작의 간단함'입니다. 예를 들면 많이들 즐기는 던전크롤만 해도 조작이 꽤나 복잡한 게임이거든요. 다양한 행동선택이 있어서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반응이 나올 때가 많은데 녹픽던은 그런 면이 많이 간소화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무료이기 때문에 금전적 부담도 전혀 없죠.

posted by 별빛사랑
2024. 9. 26. 05:13 게임이야기/숏톡

예전에는 "그걸 왜 해"라는 생각도 했는데.

지나고 보니 게임이라기보다는 약간 애완동물 키우는 느낌?으로 한다면 전혀 이해 못 할 일도 아니다는 생각이 들더라.

쭉 돌리다가 잠깐식 쳐다보고.

 

다만 하려면 딱 그것만 돌리는 전용기기가 한대 필요하다는 점.

그리고 나에겐 그럴 기기가 없다.

지금 유일하게 갖고 있는 태블릿은 Y700 2023년형 한대뿐이고 이건 활발하게 사용 중인 기기니까.

그래서 그런 것을 안 한다는 것.

 

계속해서 안 했다, 는 아니고 잠깐식 해봤는데 기기가 그것 하나에만 묶여있으니 다른 걸 할 수가 없어서 그때마다 '안 하는 게 낫다'는 결론을 내게 됐다.

그래서 앞으로도 아마도 안 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뭐 여분 기기가 생긴다면 그때 가서는 모르겠지만.

 

posted by 별빛사랑
2024. 9. 22. 08:19 일상이야기/짧은이야기

가끔 나 자신에게 하는 말이다

바보들의 멍청한 말을 볼 때마다 답답함과 화가 치밀어 오른다

그리고 거기에 반박하거나 거짓말을 정정한다

 

그런데 그런 것 한다고 나에게 뭐가 득이 되나

아무런 득이 없어

오히려 감정과 시간만 낭비할 뿐

 

그런데도 어느 순간 보면 난 또 바보처럼 그걸 반복하고 있더라

그런 점은 나도 문제다

posted by 별빛사랑